투고논문 작성요령
논문투고 신청서
연구윤리 확약서
저작권이양 동의서
논문 작성 샘플
- 1. 일반적 규정
- 1) 원고는 한글 또는 MS워드를 사용하여 국문 또는 영문으로 작성한다.
- 2) 원고 작성 시 편집 용지는 기본 꼴(예: 위쪽 20mm, 아래쪽 15mm, 왼쪽 30mm, 오른쪽 30mm, 머리말 15mm, 꼬리말 15mm, 제본 0mm)로 하며, 글자체 함초롱바탕, 글자 크기 11포인트, 장평 100%, 자간 0%, 줄간격 160%로 작성한다.
- 3) 원고의 분량은 본문, 도표, 참고문헌 등을 모두 포함하여 A4용지 20매 내외로 한다.
- 4) 제목의 번호 체계는 Ⅰ. 1. 1) (1) ① (가)의 순으로 기술한다.
- 2. 논문의 구성 및 순서
- 1) 논문은 국문초록, Ⅰ. 서론, Ⅱ. 연구방법, Ⅲ. 결과 및 해석, Ⅳ. 논의 및 결론, 참고문헌, 영문초록의 순으로 구성한다.
- 2) 국문초록은 논문 첫 페이지에 국문 주제어 3~5개와 함께 작성한다(논문이 외국어인 경우 영문초록 제시).
- 3) 영문제목은 전치사, 접속사, 관사를 제외하고 각 단어를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한다. 영문초록은 Objective, Methods, Results, Conclusion/Implications로 기재하고, 250단어 내외로 작성한다. 영문 초록 다음에는 주제어(Keywords)를 영어로 3-5개 명시한다.
- 3. 투고논문 게재가 확정시, 투고자의 인적사항 및 논문의 출처 표기
- 1) 첫 페이지에 논문 제목 아래에 투고자 성명 및 소속을 제시한다.
- 2) 마지막 페이지의 영문 제목 아래에 영문 투고자명 및 소속을 제시한다.
- 3) 첫 페이지 하단에 각주형태로 투고자의 인적사항(소속, 직위)과 교신저자의 E-mail을 표시한다(단독연구도 해당됨). 또한 논문투고자가 다수인 경우, 제1저자를 먼저 제시하고(제1저자 표기), 공동저자(공동저자 표기) 및 교신저자를 제시한다(교신저자 표기).
- 4) 연구비의 지원 여부,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을 수정 게재하려는 경우, 학위논문의 일부를 논문으로 게재하려는 경우, 연구 용역 보고서의 일부를 논문으로 게재하려는 경우 등은 논문 첫 페이지의 하단에 각주로 기재한다. 미기재에 따른 불이익은 전적으로 논문 투고자에게 책임이 있다.
- 4. 표와 그림의 작성 및 사용
- 1)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와 제목을 기술한다.
- 2) 표의 제목은 표의 상단 왼쪽에 표 1, 표 2 등으로 일련번호와 함께 기술한다.
- 3) 그림의 제목은 그림의 하단 왼쪽에 그림 1, 그림 2 등으로 일련번호와 함께 기술한다.
- 4) 표의 최상단 및 최하단은 굵은 실선으로 하고 세로선은 사용하지 않는다.
- 5) 본문에서 표나 그림에 대해 기술할 경우 표 1, 그림 1 등으로 사용한다.
- 6) 통계 용어의 약어(
, RMSEA 등)는 이탤릭체를 사용하여 표기한다.
- 7) 알파, 베타, 카이제곱 등은 수식에서 찾아 입력한다.
-
• 예:
-
• 예:
- 8) 통계적 유의도 표시 및 사후검증 결과는 위첨자로 한다.
- 9) 통계적 유의도 표기는 해당 표에 나타난 것에 한하여 제시한다.
- 10) 표 내의 수치들은 소수점을 기준으로 정렬한다.
- 5. 통계 수치의 표기
-
1) 백분율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제시한다.
- • 예: 15.6%, 13.0%, 100.0%
-
2) 백분율을 제외한 모든 통계 수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만 제시한다.
-
• 예:
-
• 예:
-
3) 1 이하의 수치를 표기할 때 0은 삭제한다.
-
• 예:
-
• 예:
-
1) 백분율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제시한다.
- 6. 본문 내 참고문헌 인용에 대한 작성 방법
- 1) 본문에서 인용한 모든 참고문헌은 참고문헌 목록에 제시해야 한다. 참고문헌은 본문에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것만을 제시한다.
- 2) 본문 중 문헌의 인용은 괄호 안에 제시와 본문 속에 참조로 나뉘며, 저자 수에 따라서, 그리고 인 용문헌이 논문인 경우와 단행본인 경우에 따라 인용방법을 달리한다. 논문은 저자 이름과 발행 연 도를 기재하고, 단행본은 저자 이름, 발행 연도와 인용페이지를 기재한다.
- (1) 저자가 1-2인 인 경우
괄호 안에 제시하는 방법 본문 속에 참조 형식으로 제시하는 방법 논문 (박○○, 김○○, 2018) 박○○와 김○○(2018)는... (Park & Kim, 2018) Park과 Kim(2018)은... 단행본 (박○○, 김○○, 2018, pp. 19-21) 박○○와 김○○(2018, pp. 19-21)는... (Park & Kim, 2018 p. 19) Park과 Kim(2018, p. 19)은... - (2) 저자가 3-5인 인 경우
• 최초 인용 시에는 모든 저자를 나열하고 두 번째 인용부터 제 1저자만을 기록한다.- ① 첫 번째 인용
괄호 안에 제시하는 방법 본문 속에 참조 형식으로 제시하는 방법 논문 (박○○, 김○○, 이○○, 2018) 박○○와 김○○(2018)는... (Park, Kim, & Lee, 2018) Park, Kim 그리고 Lee(2018)는... 단행본 (박○○, 김○○, 이○○, 2018, pp. 19-21) 박○○, 김○○, 그리고 이○○(2018, pp. 19-21)은... (Park, Kim, & Lee, 2018, p. 19) Park, Kim 그리고 Lee(2018, p. 19)는.... - ② 두 번째 이후 인용
괄호 안에 제시하는 방법 본문 속에 참조 형식으로 제시하는 방법 논문 (박○○ 외, 2018) 박○○ 외(2018)는... (Park et al., 2018) Park 외(2018)는... 단행본 (박○○ 외, 2018, pp. 19-21) 박○○ 외(2018, pp. 19-21)는... (Park et al., 2018, p. 19) Park 외(2018, p. 19)는...
- ① 첫 번째 인용
-
(3) 저자가 6인 이상인 경우
- • 첫 번째 인용부터 제1저자를 중심으로 기록한다.
- • 참고문헌 목록에는 첫 6명 저자명만 기입하고 나머지 저자들은 등 또는 et al.로 대신한다.
괄호 안에 제시하는 방법 본문 속에 참조 형식으로 제시하는 방법 논문 (박○○ 외, 2018) 박○○ 외(2018)는... (Park et al., 2018) Park 외(2018)는... 단행본 (박○○ 외, 2018, pp. 19-21) 박○○ 외(2018, pp. 19-21)는... (Park et al., 2018 p. 19) Park et al(2018, p. 19)은...
- (1) 저자가 1-2인 인 경우
- 3) 일련의 연구를 참조하는 경우에는 한국인 제1저자 이름의 가나다순, 외국인 제1저자 이름의 알파벳 순으로 나열한다. 연구 사이에 세미콜론(;)을 사용한다.
- • 예: (김○○, 박○○, 2018; 이○○, 2007; Park, Kim, & Lee, 2010; Wasik, 2000)
- 4) 재인용한 문헌의 경우 원저의 저자명을 쓰고 괄호로 묶어 재인용된 연구의 저자명과 재인용 연구 의 출판연도를 제시하여 재인용 출처를 밝힌다. 참고문헌에서는 재인용문헌(실제로 본 문헌)만 제 시한다.
- • 예: Jordan(1990, 박○○, 2010 재인용)의 연구에서는...
- • 예: Jordan(1990)은 . . . (박○○, 2010 재인용).
-
5) 번역서의 경우 원저의 저자명을 적고 원저의 출판연도와 번역서의 출판연도를 빗금(/)으로 구분하여 나란히 표기한다.
- • 예: 자아효능감에 대하여 Bandura(1977/2001)는...
- 7. 참고문헌 목록 작성 방법
참고문헌은 한·중·일·양서의 순으로 열거하며 아래의 용례에 따라 작성한다.
기타사항은 APA(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) 최신판에 따른다.- 1) 학술지
- 2) 단행본
- • 예: 김상림, 김송이, 양성은, 이윤선, 한준아, 김지현(2014). 유아발달. 경기도: 양서원.
- • 예: Mayesky, M. (1998).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. NY: Delma Publishers.
- 3) 편집도서
- • 예: 이지원 편(2002). 아동보육지원과 아동발달. 서울: 아동보육지원연구소.
- • 예: Spodek, B., & Saracho, O. N. (2006).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(2nd ed.). New York: Routledge.
- 4) 편집도서의 일부
- • 예: 김길수(2002). 한국의 아동보육지원과 자녀양육관의 변화. 이지원(편), 아동보육지원과 아동발 달(pp. 22-65). 서울: 교문사.
- • 예: Ramsey, P. G. (2006). Early childhood multicultural education. In B. Spodek & O. N. Saracho (Eds.),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(2nd ed.) (pp. 279-304). New York: Routledge.
- 5) 번역
- • 예: Fullan, M., & Hargreaves, A. (2006). 학교를 개선하는 교사(최의창 역). 서울: 도서출판 무지 개사(1996 원저 발간).
- 6) 학위논문
- • 예: 허은하(2018). 유아교사의 전문성수준 및 직무만족도가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. 인천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.
- • 예: Kholoptseva, E. (2016). Effects of center-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on children's language, literacy, and math skills: A comprehensive meta-analysis.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,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, Cambridge, USA.
- 7) 신문기사
- 8) 인터넷 자료
- 9) 학술대회 발표 자료
- • 예: 홍선호(2018. 3). 영유아기의 뇌발달과 언어교육. 한국보육학회 2018 춘계통합학술대회 자료 집, 1-12.
부칙
- 1. 본 규정은 제16권 제1호 게재부터 적용한다.
- 2. 본 규정은 제18권 제3호 게재부터 적용한다.
- 3. 본 규정은 제19권 제1호 게재부터 적용한다.